경제교육 학교수업 양극화 금융 자립도 이해력 부자 서울 유대인 탈무드 자녀

2023. 8. 14. 16:51교육 Education

반응형

1. 경제교육 양극화

한국의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경제교육을 어느 정도나 시키고 있을까? 대답은 매우 적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이다.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는 평균 75.4%가 고교 학습교과에서 경제를 수업을 받고 있으나, 지방은 55%에 그치고 있다. 전남은 이보다도 훨씬 낮은 33.7%가 경제를 배우고 있다.

 

이렇게 경제가 고교학습 과정에서 저조한 이유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. 당시 경제 등 사회 분야의 과목은 대부분 학생이 선택하여 수업을 듣는 과목으로 편성이 되었다. 또한 경제수업을 듣고 싶어도 이를 가르칠 교사도 부족하다. 경제라는 과목이 사실 어렵기도 하고 진학 등에도 크게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.

 

한 대학 연구에 따르면 자율형 사립고는 일반고에 비해 경제 과목이 개설되는 비율이 14.6% 포인트나 높다. 또한 가구당 지방소득세가 1000원 증가할 때마다 해당 지역의 경제 과목 개설 가능성은 2.15% 포인트나 증가한다.

 

이를 통해 지역별, 소득별로 경제 과목에 대한 수요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. 이는 고소득 학부모일 경우 경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더욱 많다고 볼 수 있다. 소득이 높을수록 가지고 있는 경제력이나 부를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자녀에게 경제를 더욱 가르치려고 하는 것이다. 

 

 

출처: 한국경제신문

2. 경제 교육 중요성

어려서부터 기초적인 경제개념이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다면, 성인이 되어서 이러한 경제상식을 이해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. 학교 외에서 경제교육이나 수업을 받는 비율도 2.3%에 불과하며, 그나마 대부분 한두 시간 정도의 교육을 받는 것이 전부이다.

 

경제의 상식인 금리, 복리, 이자 등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상당수이다. 이러한 기초적인 경제개념을 이해하지 못할 경우 성인이 되어 사회에 진출하더라도 제대로 된 자금관리를 하지 못하거나, 손쉽게 돈을 불려둔다는 꼬임에 넘어 사기를 당하기도 매우 쉽니다.

3. 유대인 경제 교육 

유대인들은 자녀들이 어릴 때부터 가정에서 경제 교육을 철저히 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. 유대인 아이들은 세 살이 되면 부모님과 함께 탈무드를 공부한다고 한다. 유대인 부모는 자녀가 태어나면 자녀 명의의 보험증권, 적금통장, 증권통장을 만들고 다섯 살부터 집안일에 참여하도록 한다.

 

초등학교에 들어가면 자녀의 은행 계좌를 개설하고 부모의 한 달 치 월급을 넣어준다. 만 13세가 되면 성인식을 치러주고 축하금을 주는데, 축하금이 무려 수만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. 그 돈을 유대인 부모는 어떻게 관리를 할지, 향후에 어디에 사용할지 자녀와 의논을 한다. 한마디로 유대인들은 자녀가 태어날 때부터 경제 교육을 시키고 있는 것이다.

반응형